(7강) 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 작성 기초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Last updated
Was this helpful?
데이터 구축 프로세스를 조망하고, 가이드라인이 차지하는 위치에 대해 공부합니다.
자연어처리 데이터 구축 가이드라인들의 예시를 알아봅니다.
가이드라인 작성 도구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Further Reading]
[Paper]
[Book]
목적
수집을 위한
주석을 위한
검수를 위한
제시방식
문서형
화면 노출형 / 튜토리얼형
가이드 라인은 지속적인 구축과 검수를 통해 개정되어야함.
개정 전과 후 어떤 것이 변화하였는지 비교하여 볼 수 있도록 버전 관리가 되어야함
버전별로 작성자, 개정일 등을 기록할 것.
가이드라인의 유형별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알맞는 정보를 작성한다.
작업자의 작업 이해도를 고려하여 작성한다.
작업자에게 공개해야하는 필수 정보와 부가적인 정보가 무엇인지 사전에 고려한다.
가이드라인 구성 요소의 배치를 어떻게 할 지 고민한다.
작업자의 가독성을 고려한다.
음... 문서의 기본 작성요령과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매우 당연한 내용들이지만 막상 직접 작성하려면 놓치는 경우가 많은 내용들이라는 생각이든다. 직접 작성하고 사용하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해야할 것 같다.
전문가를 위한 가이드라인과 크라우드소싱에 활용되는 가이드라인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크라우드 소싱에 활용되는 가이드라인의 경우 보다 명확한 기준을 세워야 한다.
전문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경우 전문가와 함께 가이드라인을 작성이 필요할 것 같다.
크라우드소싱에 참여하는 주석자들의 배경(e.g., 연령, 전공 등)이 상이할 경우 가이드라인 작성에 있어 예상되는 어려움은 무엇이 있나요?
데이터에 대해 동일한 결과를 내도록 하기가 매우 어렵다.
배경에 따라 다르게 판단할 수 있을 것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기준을 부여해야한다.